도원교통 (서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원교통은 1957년 8월 20일에 설립되어 서울특별시에서 운행하는 버스 회사이다. 1957년 도시형버스 2번 운행을 시작으로, 1984년 본사를 정릉동으로 이전했다.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후 지선버스 노선을 인수 및 통합하고, 2021년 사모펀드에 인수되었으며, 2023년 성원여객의 노선을 양수했다. 현재 간선버스, 지선버스, 심야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전기버스를 도입하는 등 노선을 다양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원교통 계열사 - 경성여객
경성여객은 1970년 서울승합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대한민국의 버스 회사로, 도시형 버스에서 시작하여 2004년 개편 후 간선, 지선, 심야 버스를 운영하며 2010년 도원교통에 인수되어 현대자동차와 하이거 버스를 보유하고 있다. - 도원교통 계열사 - 선일교통
선일교통은 1969년 화계교통으로 설립되어 미아운수를 거쳐 1990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서울 강북구 소재 시내버스 운송 업체로, 간선, 지선, 맞춤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2022년 사모펀드 '차파트너스'에 인수된 후 재정 악화 및 서비스 질 저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 차파트너스 - 한국비알티자동차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본사를 둔 한국비알티자동차는 간선, 심야 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과거에는 순환, 맞춤 버스 노선도 운영했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 차파트너스 - 동아운수
동아운수는 1964년 설립되어 서울 강북구를 기반으로 시내버스를 운행하는 업체로, 2004년 버스 개편 이후 간선, 지선, 순환 노선을 운영하며 2020년 사모펀드에 인수되었다.
도원교통 (서울)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도원교통 주식회사 |
영문 명칭 | Dowon Transportation Co., Ltd. |
종류 | 주식회사 |
설립일 | 1957년 8월 20일 |
본사 |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로10길 17 (정릉동) |
사업 지역 | 서울특별시 양천구 |
양천영업소 주소 |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로7길 17 (신정동) 양천공영차고지 내 |
대표이사 | 김정환 |
산업 | 운수업 |
주요 제품 | 시내버스 |
자본금 | 700,188,000원 (2020.12) |
매출액 | 27,088,154,075원 (2020) |
영업이익 | 1,370,067,836원 (2020) |
순이익 | 11,543,467,673원 (2020) |
자산 총액 | 32,669,590,556원 (2020.12) |
주주 | ESG퍼블릭모빌리티 : 100% |
종업원 수 | 338명 (2020.12) |
웹사이트 | 도원교통 |
계열사 | 경성여객 |
2. 연혁
1957년 8월 20일 회사 창립 후, 1990년대까지 좌석버스와 순환버스를 운행했고 2000년대에는 천연가스버스를 도입했다. 2003년 2월 김종원 대표이사가 서울시 버스 운수사업 조합 장으로 취임했다.[1]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이후, 여러 회사들과 노선을 통합, 인수, 이관했으며, 2010년 경성여객을 계열사로 편입했다.[2] 2018년 서울 최초로 전기버스를 도입했고, 2021년 사모펀드에 인수되었다.[3] 2023년 성원여객의 전 노선을 양수했다.
2. 1. 설립 초기 (1957년 ~ 2004년)
1957년 8월 20일 회사 창립과 함께 도시형버스 2번 운행을 개시하였다.[1] 1984년 1월 4일 성북구 정릉동 893-1 (현 정릉로10길 17)로 본사를 이전하였다.[1]1990년대에는 좌석버스, 순환버스 등 다양한 노선을 운행하기 시작했다. 1990년 8월 좌석버스 222번 운행을 개시하였고, 1996년 7월에는 순환버스 439번(지선버스 1112번) 운행을 개시하였다.[1] 1997년 11월 좌석버스 222번을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하였다.[1]
2000년대에 들어서 천연가스버스를 도입하였다. 2002년 3월 진화운수 도시형버스 824번(지선버스 7716번)을 본 회사에서 운행하였고,[1] 2002년 8월 도시형버스 2번(현 간선버스 171번)에 천연가스버스 11대를 추가 도입하였다.[1] 2003년 2월에는 본사 김종원 대표이사가 서울시 버스 운수사업 조합 장으로 취임하였다.[1]
2. 2. 서울시 버스 개편 이후 (2004년 ~ 현재)
2004년 7월 1일: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으로 노선이 변경되었다.[1]2008년 2월 1일: 지선버스 1213번을 금진교통 2237번과 통합하여 답십리역까지 노선을 연장하고 공동 배차로 운행하였다.
2008년 7월 1일: 신흥기업 지선버스 0017번을 인수하여 운행하였다.
2008년 11월 3일: 한남운수 지선버스 6514, 6617, 6620, 6657번을 인수하여 운행하였다.
2010년 4월 2일: 차고지 주차 및 천연가스 충전 문제로 지선버스 0017번을 보광교통에 이관하였다.
2010년 4월 9일: 지선버스 1213번을 답십리역으로 단축 및 분리하였다.
2010년 8월 21일: 경성여객을 계열사로 편입하였고,[2] 지선버스 1213, 2219번을 통합하여 공동 배차로 운행하였다.
2011년 9월 15일: 하이상운 마을버스 강북 12번을 신설하고 지선버스 1117번을 폐선하였다.
2013년 9월 13일: 심야버스 N62번을 경성여객과 공동 배차로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2018년 11월 15일: 서울에서 처음으로 전기버스 1711번을 하루 10대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2021년 12월: 사모펀드 '차파트너스'에 인수되었다.[3]
2023년 12월: 서울 성원여객의 전 노선을 양수하였다.
2024년 1월 22일: 지선버스 1111번 공동 배차에서 철수하고, 해당 노선에서 운행하던 차량으로 지선버스 1112번을 신설하였다.
2024년 3월 1일: 지선버스 1213번 공동 배차에서 철수하였다.
3. 운행 노선
도원교통은 2024년 3월 11일 기준으로 간선버스 1개, 지선버스 10개, 심야버스 1개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4]
구분 | 노선 수 |
---|---|
간선버스 | 1개 |
지선버스 | 10개 |
심야버스 | 1개 |
심야버스 N62번(중화중학교 ↔ 양천공영차고지)은 경성여객과 공동 배차한다.[4] 40분 간격으로 하루 6회 운행하며, 인가 대수는 6대이다. 간선 및 지선버스 노선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3. 1. 간선버스
3. 2. 지선버스
2024년 3월 11일 기준이다.[4]노선번호 | 운행구간 | 배차간격 (분) | 인가대수 | 비고 |
---|---|---|---|---|
1112번 | 정릉4동주민센터 ↔ 서울다원학교 | 5~8 | 12 | 2024년 1월 22일 개통, 1111번 노선 공동배차에서 철수 후 개통. 폐선된 1112번[5] 노선과는 관계 없음. 고려대학교 경유 |
1162번 | 성북구민회관 ↔ 보문역 | 5~7 | 6 | 구 성북마을 2번, 회차시 성북구청 정문, 삼선동 주민센터 경유. 대진여객과 공동배차 |
1164번 | 서경대학교 본관 ↔ 길음역 | 4~10 | 11 | 구 성북마을 9번, 회차시 성북우체국, KT월곡지사 경유 |
1711번 | 국민대학교 ↔ 공덕역 | 5~10 | 24 | 구 135번, 서울역버스환승센터 경유 |
2115B번 | 서경대학교 본관 ↔ 중랑공영차고지 | 5~9 | 16 | 구 1212번, 2223번 통합. 상진운수와 공동배차. 청량리역 경유 |
6514번 | 양천공영차고지 ↔ 서울대학교 | 9~15 | 25 | 구 303번[6] |
6617번 | 양천공영차고지 ↔ 목동우성아파트 | 6~15 | 9 | 구 497번[6] |
6620번 | 양천공영차고지 ↔ 당산역 | 12~20 | 9 | 구 129-1번 단축[6] |
6657번 | 양천공영차고지 ↔ 강서한강자이아파트 | 15~22 | 6 | 구 5622번 단축[6] |
8111번 | 북악중학교 → 국민대학교 | 15~20, 10회 | 5 | 2024년 3월 11일 신설 |
3. 3. 심야버스
N62번(중화중학교 ↔ 양천공영차고지)은 경성여객과 공동 배차한다.[4] 40분 간격으로 하루 6회 운행하며, 인가 대수는 6대이다.4. 이전 노선
노선번호 | 운행구간 | 비고 |
---|---|---|
0017번 | 청암동 ↔ 용산역 | 보광교통에 이관됨 |
1011번 | 국민대학교 ↔ 광화문 | 2005년 폐선 |
1111번 | 번동 ↔ 성북동 | 구 417번, 한성운수와 공동배차로 운행. 2024년 1월 22일 공동배차에서 철수하고 1112번을 신설함. |
1112번 | 국민대학교 ↔ 길음역 | 1116번과 통합 후 1117번으로 변경, 현재 운행중인 1112번과는 관계 없음 |
1116번 | 솔샘터널 ↔ 미아뉴타운 | |
1117번 | 솔샘터널 ↔ 길음역 | 구 439번 연장, 강북 12번 신설에 따라 2011년 9월 15일 폐선 |
1211번 | 국민대학교 ↔ 신당동 | 2004년 12월 폐선 |
1213번 | 면목동 ↔ 국민대학교 | 구 522-1번 변경, 경성여객과 공동배차. |
6618번 | 양천공영차고지 ↔ 신도림역 | 오케이버스와 공동배차로 운행. 2012년 9월 18일 5526번, 5612번과 통합되어 6516번으로 변경. |
8222번 | 중랑공영차고지 ↔ 봉화산역 | 2015년 용림교통 파산으로 인한 대체 노선. 인가만 있었던 미운행 노선. |
5. 보유 차량
도원교통은 현재 보유 차량이 없다.
6. 본사 및 영업소
- 정릉3동 본사 (171번, 1213번, 1711번)
- 정릉4동 영업소 (1112번, 1162번, 1164번, 2115B번)
- 양천공영차고지 영업소 (6514번, 6617번, 6620번, 6657번, N62번)
7.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도원교통 연혁
http://www.dwtrs.co.[...]
2005-03-14
[2]
웹사이트
서울시 버스조합
http://www.sbus.or.k[...]
2019-05-16
[3]
문서
계열사 경성여객은 사모펀드 '차파트너스'에 인수되지 않았다.
[4]
뉴스
2023년 2월 시내버스 인가현황
http://news.seoul.go[...]
서울특별시청 교통기획관 버스정책과
2023-04-27
[5]
문서
폐선 이후 15년 4개월
[6]
문서
이 노선은 [[한남운수]]에서 양도받은 노선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